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싱글턴
- 인텔리제이
- maven
- 박싱
- https://start.spring.io
- 언박싱
- 제너릭
- 자동형변환
- Java
- wrapper
- 루프
- bootstrap
- start.spring.io
- 메소드
- 클래스
- 스프링
- Scanner
- 콜렉션
- 빌드
- boxing
- dependency
- 싱글톤
- 제네릭
- 무한
- Jenkins
- suvlet
- Short
- 컬렉션
- 내장객체
- unboxing
Archives
- Today
- Total
Developer Gonie
[8주차] 19. 특정 요소의 자식으로 다른 파일의 html 코드 혹은 요청한 url의 응답결과를 추가 (단, 기존의 자손들을 모두 지우고) [ load() ] 본문
K-DigitalTraining 강의/7. JQuery
[8주차] 19. 특정 요소의 자식으로 다른 파일의 html 코드 혹은 요청한 url의 응답결과를 추가 (단, 기존의 자손들을 모두 지우고) [ load() ]
이대곤 2022. 7. 16. 16:34* ajax와 비슷하게 페이지의 일부를 동적으로 교체하기 위해 사용되는것 같다.
1) .load()
특정 요소의 자식으로 다른 파일의 html 코드를 추가(단, 기존에 존재하던 자손들을 모두 지우고)
html()함수와 매우 비슷한데, 다른 파일의 html 코드를 가져와 동작한다는 점이 다르다.
파일 이름과 함께 선택자를 사용하면 html 파일에서 특정 요소만 읽어올 수 있기도 하다.
사용예시
'K-DigitalTraining 강의 > 7. JQu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