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boxing
- start.spring.io
- 클래스
- Java
- 스프링
- 무한
- maven
- 제너릭
- 컬렉션
- 내장객체
- suvlet
- unboxing
- 언박싱
- 제네릭
- 메소드
- Jenkins
- bootstrap
- dependency
- 인텔리제이
- 루프
- 싱글턴
- wrapper
- 싱글톤
- 박싱
- 빌드
- 자동형변환
- 콜렉션
- Scanner
- https://start.spring.io
- Short
- Today
- Total
목록Java (5)
Developer Goni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CWey/btrWEJCdYWq/DOsUYCo9UPySDT52suYq7K/img.png)
목차 0) FileOutputStream vs FileWriter 차이점 1) 오직 FileOutputStream만을 이용한 방법 2) 오직 FileWriter 만을 이용한 방법 3) PrintWriter(FileWriter) 를 이용한 방법 4) BufferedWriter(FileWriter) 를 이용한 방법 5) Files 클래스를 이용한 방법 6) DataOutputStream(BufferedOutputStream(DataInputStream)) 을 이용한 방법 FileOutputStream vs FileWriter FileOutputStream은 OutputStream을 상속받은 것으로 말 그대로 바이너리 데이터를 파일에 쓰기 위한 용도이다 따라서 raw bytes 스트림(바이너리 데이터)을 w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sGMMM/btrEhqedq6X/4w5mS6laYhIbsh4MMGSXYK/img.png)
FileOutputStream / FileWriter / BufferedWriter 위 세가지는 공통적으로 파일에 텍스트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먼저, FileOutputStream은 1byte 단위로 처리하며, 버퍼가 없어 write()시 바로 디스크에 쓰기위한 시스템 콜이 이뤄진다. flush()나 close()를 만나지 않아도 1글자 마다 디스크에 접근하기 때문에 효율이 가장 떨어진다. 1byte 단위로 전송하기 때문에 한글은 깨지며 영어 숫자 특수문자는 잘된다. 바로 다음에 오는 링크는 버퍼를 사용하지 않고 텍스트를 파일에 저장하는 FileOutputStream 을 설명한 그림이다. https://hajsoftutorial.com/java/wp-content/uploads/2018/0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snWL/btrDInRpX0v/hwCSiElBg26MkCaceEHrZ1/img.png)
* 래퍼(Wrappper) 클래스란?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기본 타입의 데이터를 객체로 표현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럴 때 기본 자료형 값을 객체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클래스들을 래퍼 클래스라고 하고, 이를 이용해 만들어진 객체를 래퍼 객체라고 한다. 래퍼 클래스는 각각의 타입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수로 전달받아, 해당 값을 가지는 객체로 만들어 준다. 프로그래밍적이지 않게 표현하면 숫자를 박스에 넣고 포장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래퍼 클래스는 모두 java.lang 패키지에 포함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아래의 래퍼클래스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import를 해주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다. 기본 데이터 타입에는 아는 바와 같이 8가지가 있고(byte, short, int, long, floa..
1. length() : 문자열의 길이 반환 public class testString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1 = new String("apple"); System.out.println(s1.length()); } } // //5 2. toString() : 문자열의 값 반환 public class testString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1 = new String("apple"); System.out.println(s1);// 객체를 출력하면 객체의 toString() 메소드가 자동으로 호출됨 System.out.println(s1.toStrin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