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언박싱
- 내장객체
- 콜렉션
- 컬렉션
- 클래스
- 루프
- 스프링
- start.spring.io
- suvlet
- 제너릭
- 인텔리제이
- https://start.spring.io
- Scanner
- Java
- 자동형변환
- 무한
- wrapper
- 싱글턴
- dependency
- maven
- Jenkins
- boxing
- 박싱
- bootstrap
- unboxing
- 빌드
- 메소드
- 제네릭
- 싱글톤
- Short
- Today
- Total
목록K-DigitalTraining 강의 (333)
Developer Goni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zUw7/btrGks82Koa/p6I5cUEtruOtu2E190ai5K/img.png)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 1) Number(숫자 혹은 문자열) 2) 문자열 혹은 문자열 타입의 변수 앞에 '+'를 붙여주는 것, 작동방식이 바로 위의 1번 함수와 거의 비슷하다. 3) parseInt(숫자 혹은 문자열) 4) eval(숫자 혹은 문자열) 사용예시 * 생각보다 다양한 것이 가능하므로 그냥 보고 넘기지 말고 세세하게 살펴봐라 * java에서는 System.out.print()의 인자로 문자열을 연결하는 '+' 연산자를 사용할 땐 모두 같은 문자열 타입이어야만 했는데 javascript에서는 서로 다른 타입이어도 연결이 가능하다. '문자열 + 문자열', 혹은 '문자열 + 숫자'의 경우 문자열을 연결하며, '숫자 + 숫자'의 경우 덧셈연산을 수행한다. * parseInt()는 그냥 실수를 ..
문자열을 작성하는 2가지 방법 * java와는 달리 둘 다 사용이 가능하며, 모두 string 타입으로 인식된다. 1) " " 큰 따옴표를 사용 2) ' ' 작은 따옴표를 사용 s1 = "apple"; s2 = 'apple'; 문자열 작성 비교 * java에서는 == 연산자가 객체의 주소만을 비교하여 둘의 내부 값을 정확히 비교할 수 없어 s1.equal(s2)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javascript에서는 == 연산자로 문자열 비교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s1 = "apple"; s2 = 'apple'; s3 = 'banana'; document.write(s1 == s2);// true document.write(s1 == s3);// fasl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gUHe/btrGfH047hH/Vdyjaf6QFiok2EK10tckk0/img.png)
* 이렇게 작성한 함수를 바로 javascript 코드 내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기도 하지만 html에서 버튼을 만든 뒤, 버튼 클릭시 호출될 함수를 명시해주어 호출되게 할 수 있기도 하다. 이것에 대한 예시는 바로 다음의 게시글에서 알아보자. https://ldgeao99-developer.tistory.com/331 함수 작성 방법 // 함수정의 function 함수명(파라미터1, 파라미터2,,,){ 실행코드 } // 함수 호출 함수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U32sE/btrGgq5NXS4/EKuKfvqlDkyIgOZuOCzNjk/img.png)
* html 태그로 버튼을 만들고 여기에 onClick 속성으로 만든 함수및 매개변수를 설정해두면 해당 버튼이 클릭시 만들어둔 함수가 호출되게 할 수 있다. 버튼에 호출될 함수를 붙인 예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yWWhu/btrGiueQnJI/xQVne5IvtPFF5QAUG9fkK0/img.png)
* while, do-while 문의 문법은 java와 다를게 없으니 동일하게 작성하면 된다. while문 예시 do-while문 예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1pO8/btrGgrDCW5k/GT2UX7QylNBE7aK05zwAw0/img.png)
* 일반 for문의 문법은 java와 다를게 없으며 이중 for 문도 동일하게 작성하면 된다. 일반 for 문 사용예시1 이중 for 문 사용예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p0S4/btrGfPkJ1R6/hL7gLfCLHiULw9OMg3NLK1/img.png)
삼항연산자 answer = result ? A : B; // A : true인 경우 반환할 값, B : false인 경우 반환할 값 사용예시
switch-case문 * switch-case 문을 작성하는 방법은 java와 동일하다. 단, java와 javascript 둘다 case 뒤에 >, < 가 들어간 조건문을 넣을 수 없고, 값만 넣을 수 있다. 조건문을 넣으면 default 문만 작동되는 문제를 볼 수 있을 것이다. switch(값){ case 값1: 실행문; break; case 값2: 실행문; break; default: 실행문; } 사용예시 var resultBySwitch; switch(parseInt(avg/10)){ case 9: resultBySwitch = "A"; break; case 8: resultBySwitch = "B"; break; default: resultBySwitch = "C"; } var favori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AroN/btrGfVj9Z7y/8ASJAHF78kqDLTeSMocxi1/img.png)
다양한 input의 타입 버튼 submit 버튼 - 요소 내부에 존재한다면 form 속성 중 action으로 지정한 곳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짐 텍스트 입력칸 비밀번호 입력칸 - 입력한 값이 검은 동그라미로 보여짐 이메일 입력칸 - if(입력한거.indexOf('@') != -1) { return false } 와 같은 입력값 검증을 알아서 해줌 체크박스 - 같은 name을 가진 체크박스들이 존재할때 여러개 선택 가능 - 선택된 요소에는 자동으로 checked="checked" 속성이 붙게된다.(헷갈리는게 요소는 선택될 시 selected 속성) 소녀시대 방탄소년단 박재범 레드벨벳 라디오버튼 - 같은 name을 가진 라디오 버튼들이 존재할때 그 중에서 최대 1개만 선택됨 - 선택된 요소에는 자동으로 c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pwDZ/btrGgriMHnd/kc46K969kfuxliGGcsAsY0/img.png)
if-else문 * if, else 문을 작성하는 방법은 java와 동일하다. if(조건){ 실행문 }else if(조건){ 실행문 }else{ 실행문 } 사용예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koBP/btrGfyCWKLn/qlx31EYGNxA3ywUabKWsk0/img.png)
확인 취소 버튼이 있는 창을 띄우는 함수 1) 확인 클릭시 : undefined, 보통 반환값을 이용할 목적이 아닌 경고창만을 띄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됨 alert("창에 띄울 메시지"); 사용예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JqhC/btrGfz2RiBS/IXBe10btSbW8YJwR2Z4iuk/img.png)
확인 취소 버튼이 있는 창을 띄우는 함수 1) 확인 클릭시 : true 2) 취소 클릭스 : false 변수 = confirm("창에 띄울 메시지"); * 이를 삼항연산자로 다룬 게시글을 보고싶다면 바로 아래 링크를 가서 확인해보자. https://ldgeao99-developer.tistory.com/321?category=1083001 사용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