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텔리제이
- 싱글톤
- 제네릭
- unboxing
- start.spring.io
- 메소드
- 컬렉션
- boxing
- 콜렉션
- 스프링
- 싱글턴
- Short
- 내장객체
- maven
- https://start.spring.io
- Java
- dependency
- 박싱
- 빌드
- Scanner
- suvlet
- Jenkins
- wrapper
- 언박싱
- 클래스
- 무한
- 제너릭
- 루프
- bootstrap
- 자동형변환
- Today
- Total
목록K-DigitalTraining 강의 (333)
Developer Gonie
그룹함수 : 숫자들의 집합을 이용해 연산이 수행되는 함수 * 그룹함수는 where 조건에 사용할 수 없음. 그룹함수는 having 조건에 쓸 수 있음. * 모든 그룹 함수는 null을 포함하지 않는다. 단, count(필드) 말고 count(*) 은 null 을 포함하여 연산한다. 1. sum(필드) : 합계 SQL> select sum(salary) "급여 총합계" from members; 급여 총합계 ----------- 1004000 2. avg(필드) : 평균 SQL> select avg(salary) "급여 평균" from members; 급여 평균 ---------- 100400 3. min(필드) : 최소값 SQL> select min(salary) "급여 최소값" from members;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WBAQ/btrEJwzcUwE/BCWj6HHbmkIQ81v967kbt0/img.png)
* 콘솔과 이걸 둘 다 사용할 수 있지만, SQL Developer의 장점은 쿼리문을 저장해 둘 수 있다는 점이 있다. 1. 시작 시작 - SQL Developer 2. DB에 존재하는 테이블 살펴보기 - 왼쪽에 테이블 카테고리를 열어보면 DB에 존재하는 테이블들의 리스트가 보여지며, 이중 하나의 테이블을 더블클릭하면 오른쪽에 테이블의 필드 및 필드의 타입이 보여진다. 3. 접속이름이 적혀있는 창에서 쿼리문 작성 및 실행해보기 실행 : 쿼리문 입력 후 "Ctrl + Enter" -> 질의 결과가 아래 보여진다. * 콘솔창에서 insert 명령을 사용해 행을추가했더라도 commit 하지 않은 상태라면 SQL Developer 에서 select 쿼리문을 사용하더라도 추가된 행이 보여지지 않는다. 콘솔창에서 ..
* 이전에 as 는 select 에서 필드의 별칭을 지정할 때 사용했었지만, 여기서는 별칭이 아닌 진짜 테이블 생성을 위해 사용됨 기존의 테이블을 이용한 새로운 테이블 생성 --members 테이블을 가져와서, members2 테이블이 생성됨(테이블이 그대로 카피된것과 결과가 같음) create table members2 as select * from members; --members 테이블을 가져와서 where 절을 충족하는 행들만 모아, members3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members3 as select * from members where id > 5; --members 테이블을 가져와서 where 절을 충족하는 행들만 모아, members4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m..
* 이 명령어도 alter와 마찬가지로 rollback 불가. 돌아가려면 다시 재적용하는 방법밖에 없음 테이블의 이름 변경 : rename rename 테이블명 to 바꿀이름;
제약조건 6가지 - primary key : 중복되면 안되고 비어있어도 안됨 - not null : 비어있으면 안됨 - unique : 해당 필드 중복값 불가 - check : 조건에 해당하는 값만 가능 - default : 기본값 설정시 사용 - foreign key
* 모든 alter 명령은 한 번 실행하면 rollback 명령을 사용할 수 없음(자동으로 commit 까지 되므로) 1. 컬럼타입 추가 : alter table - add * default를 지정하지 않으면 컬럼은 추가하나 값은 추가하지 않으므로 값을 추가하고자 한다면 update 명령어를 사용해야한다. * default 값으로는 salary*12 등의 기존에 존재하는 컬럼을 이용한 연산을 할당할 수 없다. 값을 초기화 해주고 싶다면 컬럼 추가 후, update 로 값을 넣어주는게 낫다. alter table 테이블명 add(컬럼명 타입); -- 컬럼을 추가하며, 추가한 컬럼의 값을 전부 기본값으로 채워지게 하는 명령 alter table 테이블명 add(컬럼명 타입 default 기본값); -- 위의..
* 시퀀스는 중복되지 않는 수가 들어가야하는 필드가 있는 경우, 중복여부를 덜 신경쓰고 싶은 경우에 사용한다. 시퀀스 생성 방법 create sequence 시퀀스이름 increment by 1 -- 1씩 증가하는 수가 아니라 3씩 증가시키고 싶다면 이걸 3으로 해주면 됨 start with 1 minvalue 1 maxvalue 10; -- 11번째 레코드를 만들면서 뽑아오려고 하면 그땐 에러가 뜸. 제한을 두고 싶지않다면 maxvalue 지정해주지 않으면됨. 생성한 시퀀스 삭제 방법 drop sequence 시퀀스이름; 생성한 시퀀스를 이용하는 방법 create sequence com_seq increment by 1 start with 1 minvalue 1 maxvalue 10; create t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JpI4/btrEwydfTFq/2Qu0AHiuvh4eWJ953dBFeK/img.png)
* ddl은 무조건 auto commit 이다.
1. commit : 이걸 해줘야 지금까지 했던 작업이 저장됨 2. rollback : 마지막 commit 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 - rename, alter 명령은 엔터와 동시에 commit되므로 rollback 명령어를 사용해 작업을 취소할 수 없음 insert insert insert commit -- rollback 하면 돌아오게 되는 곳 insert insert rollback -- 마지막 commit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
테이블 1개를 삭제하는 DROP 연산 drop table 테이블명;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테이블 전부를 삭제하는 DROP 연산 drop user 사용자ID cascade; 자식테이블은 그대로 두고 부모테이블만 삭제하는 DROP 연산 drop table 테이블명 cascade constraints
테이블을 제외한 모든 레코드 삭제 delete from 테이블명; -- from은 생략 가능함 delete members; 조건과 일치하는 모든 레코드 삭제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사용예시 -- id가 5이하인 레코드 삭제 delete from members where id = 500 and salary
* Oracle 에서 문자열을 입력할 땐 '~~~~' 이렇게 작은 따옴표로 감싸줘야 한다.(큰따옴표X) 필드의 값을 전부 변경하는 것 update 테이블명 set 필드명1 = 값1, 필드명2 = 값2,,, 조건에 해당하는 row에 한해서 필드의 값을 변경하는 것 update 테이블명 set 필드명1 = 값1, 필드명2 = 값2,,, where 조건 사용예시 --name 필드의 모든 값들을 윤아로 변경하고, salary 필드의 모든 값을 50으로 변경 update members set name = '윤아', salary=50; --모든 사람들의 salary를 50인상 update members set salary = salary + 50; --id가 3또는 5인 경우에 한해서 위의 쿼리를 실행 update..